[진화] 데니소바인 얼굴 첫 복원 지구환경

211253.jpg » 디엔에이 정보를 토대로 복원한 데니소바인 소녀 초상화. 스미소니언 매거진


디엔에이 정보만으로...정확도 85%

얼굴 길쭉 넓적...3만년 전 멸종 추정


데니소바인은 현생 인류, 네안데르탈인과 같은 시기에 살다 3만년 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인류 집단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얼굴 형태가 알려지지 않았다. 두개골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8년 시베리아 남쪽 알타이산맥의 데니소바동굴에 처음 발굴된 데니소바인의 유골은 어린 소녀의 것으로 추정되는 손가락 뼈 몇 조각과 어금니 두개가 전부였다.
그런데 이스라엘 연구진이 새끼 손가락 뼈에서 채취한 유전자를 바탕으로,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분석(디엔에이 메틸화)해 처음으로 데니소바인의 얼굴을 복원했다.
19일 과학저널 <셀>에 발표된 복원 결과를 보면 데니소바인의 얼굴은 네안데르탈인처럼 길쭉했다. 골반이 넓은 것도 네안데르탈인과 비슷했다. 반면 치아는 아치형 굴곡이 더 깊었고 두개골 양 측면은 더 넓었다.

211254_web.jpg » 디엔에이 정보를 토대로 복원한 데니소바인 소녀 얼굴 조삭상. 스미소니언 매거진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과 침팬지 골격 복원을 통해 시험한 결과, 이 방법이 85% 정확도를 보였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복원을 마친 뒤 결과를 검토하는 동안 티벳 고원에서 발견된 16만년 전 데니소바인 턱뼈와 비교한 결과, 그 모양이 자신들의 추정과 일치하다는 점도 확인했다.
런던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 크리스 스트링거(Chris Stringer)는 <스미소니언 매거진>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언뜻 공상과학처럼 보이는 선구적인 연구"라며 고대 게놈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의 경계를 넓혔다는 평가를 내렸다.


출처
https://www.smithsonianmag.com/science-nature/scientists-recreate-face-denisovan-using-dna-180973177/
https://www.cell.com/cell/fulltext/S0092-8674(19)30954-7


곽노필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nopil@hani.co.kr
페이스북 페이지 '미래가 궁금해'
트위터 '곽노필의 미래창'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