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보] 알 속의 공룡, 고목에 핀 꽃? 화보영상
2023.08.18 16:54 곽노필 Edit

고목에 핀 오렌지빛 꽃일까?
부채꼴 모양의 오렌지기공버섯이 생태 및 진화생물학 분야 국제학술지 ‘비엠시 생태와 진화’(BMC Ecology and Evolution)의 사진 공모전에서 올해의 대상작으로 선정됐다. 과학자들이 연구 과정에서 포착한 경이로운 자연의 모습을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이 사진 공모전은 올해 3회째로 4개 부문에 걸쳐 심사를 진행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생태계를 위협하는 침입종 가운데 하나인 오렌지기공버섯은 갓의 지름이 5~30mm로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사람을 따라 전 세계로 서식지를 넓혀갔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선 침입종이 이 나라 생물종의 82%를 멸종 위기에 빠뜨렸다고 한다. 사진 속의 버섯은 오스트레일리아 열대우림 고사목에서 자라고 있는 모습을 찍은 것이다.

연구현장 부문 우승작은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해양공원의 수중 원격조종 탐사장비다. 이 탐사장비는 다이버가 직접 가기 어려운 깊이의 바다 생태를 조사하는 데 쓰인다.
심사진은 이 사진에 대해 “선명한 이미지로 역동적인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며 “생태 연구의 본질을 잘 드러냈다”고 평가했다.

지구 보호 부문 우승작은 아프리카 기니에 있는 침팬지보호센터의 지속가능한 양봉 프로젝트의 한 장면을 포착한 것이다. 양봉 프로젝트는 꿀 채취를 목적으로 한 산림 파괴를 방지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수익의 일부는 침팬지 보호에 쓰인다.
심사진은 “지구를 보호하면서도 지역 사회에 보탬이 되는 윈-윈 상황을 어떻게 만들어갈 수 있는지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 좀비 곰팡이에 기생하는 곰팡이

식물과 균류 부문 우승작은 좀비 개미 곰팡이의 자실체에 기생하는 곰팡이를 찍은 사진이다.
작가는 “좀비 개미 곰팡이는 전 세계 숲에서 발견되는데 이 숲에는 이들에 기생하는 곰팡이는 물론 이들을 잡아먹는 곰팡이도 함께 서식하고 있다”며 “과학자들은 최근에야 이 매혹적인 곰팡이의 목록을 작성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고생태학 부문 우승작은 7200만~6600만년 전 백악기 말기의 적색퇴적암층에서 발견된 알 속의 하드로사우루스 배아다. 하드로사우루스는 오리와 같은 부리를 가진 공룡이다.

하드로사우루스가 낳은 알은 처음엔 아주 작았다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커졌는데, 이는 새끼가 좀 더 성숙한 발달 단계에서 태어났음을 뜻한다.
이밖에 각 부문의 2위작은 다음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