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100년 국산 사과가 사라진다 에너지식량

14.jpg

 

세계 평균치보다 훨씬 올라가는 한국 기온

 

농촌진흥청이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토대로, 앞으로 국내 작물의 재배지와 생산량, 품질이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예측 보고서를 냈다.

진흥청에 따르면 지난 100년 동안 세계의 평균 기온은 0.7℃ 오른 데 비해 우리나라는 1.5℃로 크게 올랐다. 정부간기후변화협약패널( IPCC)은 이런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면 2100년에는 세계 평균 4.7℃, 우리나라는 5.7℃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시나리오대로 기후 변화가 진행될 경우, 기후 변화에 민감한 과수 작물은 생산량과 품질뿐만 아니라, 재배지에도 큰 변동이 불가피하다고 진흥청은 밝혔다.

이에 따라 진흥청은 2013년 개발한 ‘농업용 미래 상세 전자기후도’를 바탕으로 한국 농업 환경에 맞는 작물별 재배지 변동 예측 지도를 개발했다.  이 예측 지도는 현재 재배되고 있는 품종과 재배양식 등의 재배시스템이 그대로 유지된다는 조건 하에 기후 변화 시나리오(RCP 8.5)를 바탕으로 제작했다. 이번에 작성한 것은 우리나라 6대 과수 작물인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단감, 감귤을 2010년대부터 209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재배지 변동을 상세히 예측한 것이다.

 

사과2.jpg » 사과 재배 예측 지형도

 

사과.jpg

 

사과 대신 단감과 감귤 생산 는다

 

우선 주요 과수 작물의 총 재배 가능지(재배 적지+재배 가능지) 면적 변동을 예측한 결과, 사과 재배 면적은 지속적으로 줄고 배, 복숭아, 포도는 21세기 중반까지는 조금 늘다 다시 줄어든다. 단감과 감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사과는 과거 30년 동안의 재배 면적과 비교해 앞으로 재배 적지와 재배 가능지가 모두 빠르게 줄고, 21세기 말에는 강원도 일부에서만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감귤1.jpg » 감귤 재배 가능지역.

 

단감2.jpg » 단감 재배 가능 지형도.

 

배, 복숭아는 21세기 중반까진 늘다 이후 줄어든다

 

배는 2040년대까지 총 재배 가능지 면적이 늘다가 2050년대부터 줄어들고, 고품질 과실 재배가 가능한 재배 적지는 2040년대부터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숭아는 2050년대까지 총 재배 가능지 면적이 과거 30년 평균 면적 대비 소폭 증가하나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도는 재배지 총 면적이 2050년대까지 완만히 늘다가 이후 급격히 줄고, 고품질 재배가 가능한 재배 적지는 2020년대부터 크게 줄 것으로 내다봤다. 단감은 고품질 재배가 가능한 재배 적지의 면적이 꾸준히 늘어 총 재배 가능 면적이 늘며, 재배 한계선이 올라가고 산간 지역을 제외한 중부 내륙 전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감귤은 총 재배 가능지가 계속 증가하고, 재배 한계선이 제주도에서 남해안과 강원도 해안 지역으로 올라갈 것으로 예측됐다. 

 

배2.jpg » 배 재배 가능 지형도.

 

복숭아1.jpg » 복숭아 재배 가능 면적.

복숭아2.jpg » 복숭아 재배 가능 지형도.

 

 

포도1.jpg » 포도 재배가능 면적.

 

포도2.jpg » 포도 재배가능 지형도.

 

@이 글은 농촌진흥청이 2015년 2월26일에 발표한 보도자료를 전재한 것입니다.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