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의 발, 수도권 전철 40년

1974년 74km에서 2014년엔 충남 아산부터 강원 춘천까지 총 955km

가장 붐비는 역은 강남, 신림, 잠실, 서울역, 홍대입구, 신도림 순서

서울 관악구는 한달에 역 당 267만명 승하차하는 반면 서대문구는 57만명

1974년 8월 15일 선을 보인 수도권 전철이 올해로 꼬박 40년이 됐다. “지옥철”, “지각철” 등 이런 저런 비판도 많이 받지만, 서울과 수도권 서민들에게는 없어서는 안되는 교통 수단이 전철이다. 서민의 발, 수도권 전철의 40년을 그림으로 정리해봤다.

■ 노선

코레일이 2014년 6월1일 기준으로 정리한 자료를 보면, 수도권 전철은 1974년 74.1km였는데 2014년엔 수도권 도시철도를 포함해 955km로 늘었다. 역 수는 처음 29개에서 현재 228개, 연간 이용객은 7300만명에서 39억명으로 늘었다.

compare-large.jpg


수도권 전철 노선 확장 현황 비디오로 보기1 1974-1994년 (42초)

수도권 전철 노선 확장 현황 비디오로 보기2 1994-2014년 (45초)


수도권 전철 노선 확장 현황 슬라이드로 보기



■ 서울 구별 승하차 승객수

국가교통데이터베이스 최신 공개자료(2013년 9월)를 기준으로 보면 서울 각 역별 월 승하차 승객수는 평균 108만명(하루 평균 3만6천명)이다. 구별로 보면 관악구가 역 평균 267만명(하루 8만9천명)으로 가장 많고, 가장 적은 곳은 서대문구로 평균 57만명(하루 1만9천명)이다. 그래프에서 보듯이 구별 격차가 상당하다. 전철역 수도 차이가 많아서, 강남구가 24곳인 반면 강북구와 금천구는 3곳에 불과하다. (여러 구의 경계에 있는 역의 승하차 승객수는 구별로 균등하게 나눠서 계산함. 2013년 9월에는 추석이 포함되어 있어서 평소의 통계와는 차이가 날 수 있음.)

gu.jpg


■ 가장 붐비는 전철역 20곳

승하차 승객수가 많은 역은 2호선에 집중되어 있다. 강남역이 압도적인 1위이고 신림, 잠실, 서울역이 그 뒤를 잇는다.

top20.jpg

승하차 승객수 상위 20곳 (2013년 9월 기준)
역 이름월간 하차 승객수월간 승차 승객수승하차 승객수 합계
강남 (2호선)2,856,7522,731,1035,587,855
신림 (2호선)1,995,6652,048,8284,044,493
잠실 (2호선)1,941,8002,096,1164,037,916
서울역 (1호선)1,835,8872,068,8873,904,774
홍대입구 (2호선)1,969,1791,845,2313,814,410
신도림 (2호선+1호선)1,848,9341,845,7663,694,700
고속터미널 (3호선)1,804,1591,649,2133,453,372
구로디지털단지 (2호선)1,725,8511,724,8993,450,750
영등포 (1호선)1,632,9411,525,5643,158,505
삼성 (2호선)1,600,6431,545,8313,146,474
신촌 (2호선)1,556,0861,498,9733,055,059
강변 (2호선)1,526,0081,520,8663,046,874
서울대입구 (2호선)1,496,3901,530,4473,026,837
을지로입구 (2호선)1,485,6541,486,2662,971,920
선릉 (2호선)1,336,1111,507,9782,844,089
수원 (1호선)1,343,8811,327,3172,671,198
역삼 (2호선)1,373,5371,220,6722,594,209
사당 (2호선)1,358,9881,232,8812,591,869
수유 (4호선)1,274,9531,314,3832,589,336
건대입구 (2호선)1,357,4341,229,2502,586,684


■ 노선별로 본 승하차 승객수

lines.jpg

 

■ 글 주소: 한겨레 데이터 블로그 http://plug.hani.co.kr/data/1927931
■ 원 자료 새 창에서 보기: 국가교통데이터베이스 월별 지하철 역간 이용인원(수도권)

신기섭 기자 marishin@hani.co.kr
트위터 계정: twitter.com/Hanidatablog
창작물 저작권은 한겨레신문사에 귀속됩니다.
TAG

댓글 쓰기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