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임과 풀림의 연속…몸 안의 자연을 깨운다 고수를 찾아서

풍류도 태원스님


삼국시대 무예와 불교 만나 탄생 
땅, 물, 불, 바람 벗삼은 심신수행 
몸을 꼬아서 육체적 극점 만들고 
느낌에 집중하면 몸과 마음 하나로

100.jpg


부처님의 인자하고 온화한 미소가 법당을 가득 채운다. 정적이 흐른다. 한동안 좌선하던 스님은 가부좌 자세를 풀고 몸을 움직이기 시작한다. 움직임은 느리고, 느린 움직임 뒤에는 절제된 멈춤이 있다. 손과 발은 척추를 중심으로 전후좌우로 꼬임과 풀림이 계속된다.

가부좌를 풀고 일어난 스님은 선무(禪舞)를 추기 시작한다. 푸른빛이 도는 흰색 적삼은 깊은 내공을 품은 육체의 실루엣을 조금씩 보여준다. 한 발로 중심을 잡은 채 양쪽으로 힘차게 손을 뻗어 360도 서서히 돈다. 조그마한 요동도 없다. 마치 굳건한 뿌리를 가진 큰 바위처럼 사방을 향해 기를 뿜는다.

‘달물사위’이다. ‘달물’은 물과 물속에 잠긴 달이다. 물과 함께 흐르되 물에 젖지 않는 달이다. 매임 없이 물과 함께 흐르는 물속의 달처럼 몸동작은 자유롭다. 흐르는 물은 바위에 부딛치며 품고 있던 달을 산산이 부수었으나, 조용한 물길에 곧 달은 하나가 된다. 동(動) 속에 정(靜)을 얻고, 정에서 동을 닦으며 몸과 마음을 함께 수행하는 한민족 고유의 몸짓이다. ‘매임 없는 자유로움’이 그대로 묻어난다.

“몸에도 마음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새의 날갯짓처럼, 나의 몸짓이 내 본성의 밝은 빛을 찾아갈 때, 우리는 모든 얽힘의 사이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맺었다 풀어지고 흐트러져 다시 맺어지는 내 몸과 마음의 선을 따라가면 나의 얽힘을 내려놓게 되고, 그 알아차림의 찰나에 내려놓는 이치에 대해 눈뜨게 됩니다.”




대전 천중선원의 태원(56) 스님이 복원한 풍류도(風流道)는 삼국시대의 무예와 선도 부루문화가 당시 융성했던 불교문화와 합쳐지며 탄생한 심신 쌍운의 고대 수행문화 원형을 간직한 수련법이다. 몸과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만드는 징심(澄心)수련이다.

‘풍류’라는 용어는 9세기 신라시대의 석학 최치원이 쓴 화랑 난랑의 비문에 나타난다. “우리나라에는 깊고 오묘한 도가 있다. 이를 풍류라 한다. 이 가르침의 근원은 선사에 상세히 실려 있는데, 실로 삼교(유불선)를 포함한 것이요, 모든 민중이 이것으로 교화하였다.”(國有玄妙之道 曰風流 設敎之源 備詳仙史 實乃包含三敎 接化群生)

풍류는 땅, 물, 불 그리고 바람 등 자연을 벗 삼은 수행문화 원형인 ‘부루’에서 시작됐다는 것이 태원 스님의 설명이다. 고구려의 조의선인, 백제의 수사도, 신라의 화랑도는 배달민족의 현묘지도(玄妙之道)인 부루(풍류)도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풍’(風)은 일찍부터 동아시아에서 자연의 한가함이나 예술의 정서와 사람의 품격을 드러내는 뜻으로 존중된 개념이었다.

육당 최남선은 “부루는 상고 조선에 고유한 신앙인 태양숭배, 곧 ‘밝은 뉘’(광명세계)가 변한 말이고, 이 부루를 한자로 적을 때는 풍류라고 이름한 데까지 변하였다”고 밝히기도 했다.


103.jpg

대전이 고향인 태원 스님은 중학생 때 평행봉을 하다가 떨어져 허리를 심하게 다쳤다. 고질적인 허리병(디스크)에 시달리던 그는 고교 1학년 때 한 거사를 우연히 만났다고 한다. 당시 50대였던 ‘철암거사’는 그를 보문산으로 데려가 여러 가지 몸동작을 가르쳐 주었고, 신기하게 허리 통증이 사라졌다. 철암거사는 통도사 뒤 암자에서 한 노승으로부터 이 수행법을 배웠다고 했다. 당시 80대의 노승은 자신의 제자인 철암거사에게 작은 동굴에 들어가며 입구를 막을 것을 부탁했다고 한다. 그렇게 열반한 것이다.


101.jpg


철암거사와 헤어진 태원 스님은 이후 대학(경영학 전공)에 입학했으나 중도에 포기하고 출가를 했다. 출가 뒤 승가대에 다시 입학한 태원 스님은 자신의 허리를 고쳐준 불가 수행에 대해 연구를 시작했고, 여러 불교 문헌을 통해 그 동작은 신라시대부터 내려온 풍류도의 원형을 바탕으로 재구성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한다. 태원 스님은 지리산의 암자 묘향대에서, 계룡산의 이름 없는 암자에서 풍류도를 수행하는 스님들을 만나 수련의 깊이를 더했다고 한다.

“인간의 몸에는 땅, 물, 불, 바람의 4요소가 잠재돼 있습니다. 수련을 통해 이 4대 요소를 깨어나게 하면 몸이 지니고 있던 야생의 자연 성품이 살아납니다. 예를 들어 바람(風)이 깨어나면 몸은 자신도 모르게 떨리고, 요동치게 됩니다. 이런 내 안의 본래 성품을 현실로 이끌어내면 몸과 마음이 건강해집니다.”

태원 스님은 ‘느낌’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몸과 마음을 연결시켜주는 것이 느낌입니다. 느낌은 정신적 느낌과 육체적 느낌이 있습니다. 불에 데었을 때 육체는 순간적으로 순수하게 반응하고, 정신적으로는 ‘싫다’는 느낌이 다가옵니다. 신체적 느낌에 집중하면 정신적, 육체적 작용이 쌍으로 알아차림이 되며 이러한 마음 챙김으로 잡념이 없어지고 내 안의 나를 볼 수 있습니다.”


102.jpg

태원 스님은 참선을 하면서 몸과 마음에 일어나고 사라지는 느낌의 현상을 관찰하는 데 집중하면 몸과 마음의 고통이 사라진다고 한다. “알아차리되 집착하지 않고, 내려놓으면 동작의 에너지는 몸속으로 들어옵니다. 사람과 배가 하나가 되어 서로 의존해 바다를 항해하듯이, 마음과 육체는 서로 의지하고 있어 함께 수행해야 하는 이치지요.”

풍류도에서는 몸의 꼬임을 중시한다. 몸이 서로 꼬이는 극점에서 정신적, 육체적 집중이 최대치가 되고, 서로 역회전이 일어나는 접점이 달물사위의 맺음세가 형성되는 곳(득중처)이 된다는 것이다. 그곳에서 집중과 몰입의 극대화가 이루어지고, 느낌의 ‘지켜보기’가 ‘알아차림’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러한 알아차림이 나를 깨우는 것이다.


태원스님이 풍류도를 시연하고 있다.

상체를 돌리고 하체를 고정해 한 발로 섰을 때, 등줄기는 꼬인다. 등줄기의 꼬임이 양 어깻죽지 중심에서 극점이 형성된다. 몸 중심 잡기가 ‘삼각점 모으기’에서 ‘삼각 중심점 지켜보기’로 나아가면 신체적 수련이 정신적 수행의 바탕이 되는 ‘엉긴 느낌의 알아차림’으로 한걸음 깊이 나아간다고 태원 스님은 설명한다.

“알려 하지 말고 알기 이전에 알아차려야 합니다. 그리고 깨닫기 이전에 깨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깨어난 만큼 알아차릴 수 있기 때문이죠.” 법당에 다시 정적이 흐른다.

대전/글·사진 이길우 선임기자 nihao@hani.co.kr

영상 이규호 피디 295pd@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649942.html#csidx9da7c486414c045aa17614604244c64 onebyone.gif?action_id=9da7c486414c045aa17614604244c64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