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3D프린팅 알약, 삼키는 고통을 끝내다 3D 프린팅

sp1.jpg » 3D 프린팅 방식으로 만든 간질 치료제 '스프리탐'. Aprecia 제공

 

입안에서 금세 녹아버리는 알약

 미 제약회사, 세계 첫 시판 시작

 

시장에 새로운 약을 내놓으려면 긴 세월에 걸친 연구개발과, 임상시험, 그리고 당국의 약품 승인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런 과정을 다 거치는 데는 대개 몇년이 걸린다.
미국의 제약회사 아프레시아(Aprecia)가 개발한 3D 프린팅 방식의 알약 스프리탐(Spritam)도 그런 사례에 속한다. 발작장애(간질) 치료제인 스프리탐은 이런 과정을 거쳐 최근 미국 시장에서 시판되기 시작했다. 3D 프린팅 알약이 개발 단계를 넘어 마침내 실생활에 진입한 것이다. 지난해 8월 미 FDA(식품의약국)으로부터 시판 승인을 받은 지 7개월만이다.
이 알약은 아프레시아가 자체 개발한 집도즈(ZipDose) 기술을 이용해 만들었다. 집도즈 기술이란 기존 알약처럼 압축이나 펀칭, 금형 등으로 약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약 분말과 수용성 액체를 번갈아 뿌리면서 가루를 층층이 쌓아올리는 방식을 가리킨다. 액체가 굳은 뒤엔 약이 딱딱해지지만 작은 공기 구멍들이 많아 한 모금의 물만으로도 금세 녹아버린다. 약이 전부 녹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11초(최단 2초~최장 27초)라고 한다.

 

sp33.jpg » 스프리탐 제조 과정. 먼저 약 분말을 얇게 도포하고 그 위에 수용성 액체를 떨어뜨린다. 이런 과정을 반복해 알약을 완성한다. Aprecia 제공

 

알약을 삼키지 못하는 간질환자들


이 다공성 알약은 약물 투여에 새로운 길을 열었다. 딱딱한 알약의 경우 어떤 이들은 단번에 잘 삼키지만, 어떤 이들은 상당한 애를 먹는다. 약 복용자의 40~50%가 알약을 삼키는 걸 힘겨워 한다는 설문조사도 있다. 특히 발작장애 환자들의 경우 공통적으로 약을 잘 삼키지 못하는 연하장애(dysphagia) 증상을 호소한다. 설상가상으로 알약은 복용량이 증가하면 크기도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심할 경우에는 호스로 약을 밀어넣는 경우도 있다. 이는 약에 대한 공포심을 유발해 약 복용을 아예 포기하는 환자까지 생겨날 정도이다.

  

개인별 맞춤형 알약 제조 가능

 

아프레시아는 3D 프린팅 방식으로 약을 제조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곳곳에 구멍이 나 있어 약은 약간의 액체만으로도 환자의 입 안에서 사르르 녹는다. 따라서 굳이 물을 따로 마실 필요 없이 침만으로도 손쉽게 약을 복용할 수 있다. 3D 프린팅 기술이 알약을 삼키는 고통에서 환자들을 단번에 해방시켜준 셈이다.
3D 프린팅 방식을 활용하면 또 개인별로 복용량을 달리한 알약 제조도 가능해 맞춤형 약품  시대를 앞당기는 효과도 기대된다. 이전까지는 일정한 크기로 제조한 알약을 환자의 상태나 신체에 맞게 약을 쪼개서 복용하도록 했지만이제는 각자에게 필요한 만큼의 약물 성분이 들어 있는 약을 직접 제조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sp3.jpg

아프레시아는  스프리탐을 일단 4가지 용량(250mg, 500mg, 750mg, 1000mg)으로 제조해 시판하고 있다. 용량이 클수록 약도 커지지만 이젠 더 이상 걱정 안해도 된다. 입 안에 넣자마자 곧 녹아버리기 때문이다. 아프레시아는 "미국에서 300만이 넘는 사람들이 간질을 앓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3D프린팅 알약은 복약 관리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출처
https://www.spritam.com/
http://3dprint.com/125522/aprecia-epilepsy-drug/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