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추락한 루나 25호가 남긴 달 충돌구 우주항공

착륙 예정지서 400km 떨어진 곳에서 새 충돌구 확인
러시아의 달 탐사선 루나 25호가 달 표면에 추락하면서 만든 지름 약 10미터 구덩이. 사진에 담긴 달 표면의 폭은 275m이며 위쪽이 북쪽이다. 미국의 달 궤도선이 촬영한 사진을 4배 확대한 것이다. 미 항공우주국 제공
러시아의 달 탐사선 루나 25호가 달 표면에 추락하면서 만든 지름 약 10미터 구덩이. 사진에 담긴 달 표면의 폭은 275m이며 위쪽이 북쪽이다. 미국의 달 궤도선이 촬영한 사진을 4배 확대한 것이다. 미 항공우주국 제공

지난달 19일 달 표면에 추락한 러시아의 달 탐사선 루나 25호가 남긴 충돌구가 발견됐다.

미 항공우주국(나사)은 달 궤도선 LRO를 통해 러시아연방우주공사 로스코스모스가 추정한 추락 지점 주변을 지난달 24일 촬영한 뒤, 이전 사진과 비교 한 결과 새로운 충돌구가 생긴 것을 확인했다고 31일 발표했다.

나사는 “이전 사진은 지난 6월에 촬영한 것이고, 그 이후에 새로 생긴 충돌구는 루나 25호의 예상 추락 지점에 가깝다”며 “따라서 이 충돌구는 자연 물체가 만든 것이 아니라 루나 25호가 만든 것일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러시아 달 착륙선 루나 25호는 8월19일 폰테쿨랑G 충돌구 남서쪽 가장자리에 충돌했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이 루나 25호가 추락한 지점이다. 사진에 담긴 달 표면의 폭은 1100m이며 위쪽이 북쪽이다. 미 항공우주국 제공
러시아 달 착륙선 루나 25호는 8월19일 폰테쿨랑G 충돌구 남서쪽 가장자리에 충돌했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이 루나 25호가 추락한 지점이다. 사진에 담긴 달 표면의 폭은 1100m이며 위쪽이 북쪽이다. 미 항공우주국 제공

루나 25호의 추락시 충격으로 인해 생긴 새 충돌구는 지름이 약 10m이며 위치는 남위 57.8도, 동경 61.3도이다. 충돌 지점은 루나 25호의 착륙 예정 지점(남위 69.5도, 동경 43.5도)보다 약 400km 떨어진 폰테쿨랑G 충돌구의 안쪽 가파른 경사지로, 평지보다 360m 더 낮은 곳이다. 나사는 추락 지점의 경사도는 20도가 넘는다고 밝혔다.

미국의 달 궤도선이 6월27에 찍은 루나 25호 착륙 예정지 주변. 미 항공우주국 제공
미국의 달 궤도선이 6월27에 찍은 루나 25호 착륙 예정지 주변. 미 항공우주국 제공

“1960~1970년대 소중한 경험 사라져”

앞서 유리 보리소프 로스코스모스 대표는 러시아 방송 인터뷰에서 “루나 25호가 달 착륙일 21일을 이틀 앞두고 착륙전 궤도로 이동하던 중 엔진 이상작동으로 궤도를 이탈해 추락했다”고 밝혔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엔진이 계획된 84초 대신 127초 동안 작동했다.

보리소프 대표는 이어 “거의 50년 동안 달 탐사 프로그램을 중단한 것이 실패의 주된 원인”이라며 “1960년대와 1970년대 전임자들이 축적한 귀중한 경험이 프로그램이 중단되는 동안 사실상 사라졌다”고 덧붙였다.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