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공지능이 외계행성 찾아냈다 로봇AI

17-098.jpg » 왼쪽 세번째 행성이 이번에 발견한 케플러-90i다. 이번 발견으로 케플러-90은 태양계와 같은 수의 행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나사 제공

 

구글 머신러닝으로 케플러 데이터 분석
2545광년 ‘케플러-90’ 8번째 행성 발견

태양계와 행성 수 같은 '외계 태양계'

 

인공지능이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일을 해냈다. 앞으로 우주 탐사에서도 인공지능의 역할이 크게 넓어질 전망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케플러(Kepler) 우주망원경이 보내온 자료를 구글 머신러닝으로 분석해 ‘케플러-90'(Kepler-90)이라는 별 주위에서 8번째 외계 행성을 발견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발견은 우리 태양계 행성과 같은 수의 행성을 가진 외계 태양계를 발견했다는 데서 큰 의미가 있다. 이번에 발견된 행성엔 ‘케플러-90아이’(Kepler-90i)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지구에서 약 2545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이 행성은 ‘케플러-90' 항성 주변을 14.4일에 한 번씩 도는 뜨거운 암석 행성이다.

 나사는 케플러가 보내온 관측 데이터를 구글 머신러닝 기법으로 학습시켜 이 행성의 존재를 찾아냈다. 나사의 천체물리학부문 책임자인 폴 허츠(Paul Hertz) 박사는 “우리가 예상했던 대로 케플러 데이터에는 밝혀지길 기다리는 흥미로운 것들이 숨어 있었다"며 "이번 발견은 케플러 데이터가 앞으로 수년간 혁신적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보물이 될 것임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kepler.jpg » 행성 수가 똑같은 태양계와 ‘케플러-90’ 항성계의 비교. 행성의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케플러-90은 바깥으로 갈수록 행성이 큰 것이 특징이다. 나사 제공   

 

 연구진은 케플러에 기록된 빛 신호를 통해 외계행성을 판별해내는 방법을 컴퓨터에 학습시켰다. 예컨대 행성이 별 앞을 지나갈 때는 빛의 밝기에 변화가 생기는 데 이를 정밀하게 판독할 수 있게 했다. 이전의 발견 데이터들을 학습한 구글 인공신경망은 마침내 용(드라코) 별자리에서 이전에 놓쳤던, ‘케플러-90’을 선회하는 8번째 행성의 아주 약한 신호를 찾아냈다. 인공신경망이 우주에서의 아주 약한 신호를 확인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을 입증한 것이다.

 

 

 나사는 케플러-90i는 지구보다 약 30% 더 크며, 항성에 너무 가까워 평균 표면온도는 태양계의 수성과 비슷할 정도로 뜨거운 것으로 추정했다. 항성의 가장 바깥을 도는 ‘케플러-90h’는 태양과 지구 정도의 거리를 두고 공전하고 있다. 연구진은 “케플러-90 항성계는 태양계의 미니 버전과 같다. 안쪽엔 작은 행성이, 바깥쪽엔 큰 행성이 있지만 모든 행성은 태양계 시스템보다 항성에 훨씬 가까이에 있다”라고 밝혔다

 케플러가 보내온 4년간의 데이터에는 3만5000개의 신호가 들어 있다. 이것들은 모두 잠재적인 외계행성 후보들이다. 나사는 인공신경망을 통해 앞으로 더 많은 행성 신호들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출처
구글 설명회

 http://www.bloter.net/archives/301491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