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 인류는 20만년 전부터 침대를 썼다 사회경제

bed6.jpg » 풀 침대 흔적이 발견된 남아공의 동굴. 사이언스 제공

남아공 동굴에서 풀침대 증거물 발견

잿더미 위에 잎이 넓은 풀 깔아 사용


20만년 전 아프리카의 현생인류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풀 침대가 발견됐다.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남아공의 시부두동굴에서 발견한 7만7천년 전의 풀침대보다 훨씬 이전의 것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랑스, 아르헨티나, 벨기에 국제 공동연구진은 에스와티니(옛 스와질랜드) 국경지대에 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레봄보산맥 절벽 위 국경 동굴(Border Cave)에서 초기 현생인류가 풀침대를 사용한 증거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동굴 안쪽에서 발견된 이 침대는 잿더미 위에 풀을 깔아 만든 것이다. 성분 분석 결과, 풀의 정체는 잎이 넓은 기장아과 식물로 밝혀졌다. 그 아래 바닥엔 주로 동굴을 청소하고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태웠던 풀과 난방용으로 태운 나무의 재를 깔았다.

bed4.jpg » 위에서 바라본 풀 침대 흔적(흰색).

잿더미는 청결 유지하고 해충 퇴치 위한 것

 

연구진은 잿더미는 잠을 자는 동안 해충들이 침대 위로 기어 올라오는 것을 막기 위한 장치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현재 이 침대는 화석화한 상태여서 현미경 확대와 화학 분석을 통해서 확인했다. 논문 제1저자인 남아공 비트바테르스란트대의 고고학자 린 와들리 교수는 "잿더미 위에 풀침대를 까는 것은 청결을 유지하면서 곤충도 퇴치하는 사려깊은 전략"이라고 말했다.

bed5.jpg » 옆에서 본 풀 침대.

연구진은 풀침대와 같은 층에서 발견된 치아 2개의 법랑질에 대한 방사성 연대측정을 통해 이 풀침대의 사용 시기를 20만년 전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일부 과학자들은 이 방법에 의한 연대 추정의 신뢰도에 의문을 표시했다고 `사이언스 매거진'은 보도했다.

와들리 교수는 "석기 제조 과정에서 나온 돌조각들이 섞여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사람들은 풀 침대 위에서 잠도 자고 일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풀침대에서는 또 작은 황토 알갱이들이 나왔는데, 이는 피부를 문질러 닦거나 물건에 색깔을 입히는 용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bed1.jpg » 동굴이 있는 절벽 전경.

앞서 남아공 과학자들은 이 동굴에서 17만년 전 전분이 많은 뿌리식물을 구워먹은 흔적을 발견해, 그 연구 결과를 올해 초 국제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8월14일 발행된 `사이언스'에  실렸다.


출처


 


곽노필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nopil@hani.co.kr
페이스북 페이지 '미래가 궁금해'
트위터 '곽노필의 미래창'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