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선도 청산선사 1/도인열전 1 도인열전

국선도 청산선사 1/차력 시범의 뜻

청산선사께서는 머무시는 방에 항상 어항을 놓으셨다. 보통 가정용 어항 중에도 제일 큰 어항을 놓으셨고, 방이 제법 클 때는 대형 어항 두 개를 나란히 붙여놓고 풍성한 수초에 다양한 물고기를 사다 기르셨다. 그리고 한가할 때마다 어항 속을 구경하는 일을 즐기곤 하셨다.  
“나는 어항 속 물고기들을 바라보고 있으면 시간가는 줄 모른다.”
 한번은 나도 함께 어항 속을 구경하고 있었는데, 그때 선사는 이런 말씀을 하셨다. 
“너도 이것을 배워야 해.”
 나는 그 말씀의 의미를 몰라 한동안 어항 속을 자주 들여다봤고, 그 후로도 어항을 볼 때마다 속으로 ‘무엇을 배워야 하는 거지?’ 하고 깊은 생각에 빠지는 버릇이 생겼다.  
 그런데 한참이 지난 후에, 꾸준히 수련을 해오던 어느 날 한순간에 나도 모르게 무릎을 쳤다. 
 “이 말씀이셨구나!”
 어항 속을 이 세상의 모습이라 한다면, 어항을 바라보는 사람은 신이나 조물주의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세상 속에서 살되,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만큼은 높고 멀리 떨어진 곳에서 지켜보듯 해야 한다. 이러한 나의 깨달음이 정답인지는 알 수는 없다. 하지만 이로 인해 나는 수련을 통해 의식을 확장하는 데 커다란 도움을 받았다. 
 
 지금 생각해보니, 선사께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고 가르침을 펴실 때의 모습이 꼭 그와 같지 않았나 싶다. 선사께서는 나의 눈앞에 계셨지만, 나는 그의 가르침을 온전히 받아들일 그릇이 되지 못했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수련인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선사는 ‘눈 있고 귀 있는 자는 보고 들을 수 있도록’ 입산하기 전까지 말씀으로, 몸으로, 그리고 생활 그 자체로서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주셨고 그것들은 나와 여러 제자들의 기억 속에 생생하게 남아 있다. 
 나는 당시에는 잘 이해하지 못했던 선사의 말씀이 시간이 지나면서 새롭게 깨달아지는 경험을 무수히 했다. 또한 선사께서 시대를 앞서 말씀하신 부분, 특히 예언적인 가르침은 오히려 오늘날에야 그 의미가 생생하게 다가오곤 한다. 
 (청산선사는 필자의 아버지이며 스승이시므로 이 책에서는 ‘선사’라는 호칭을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혼동을 피하기 위해 선사의 선대 스승님들은 ‘도인’이라는 호칭으로 따로 구분할 것이다.)
 
 선사의 도력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진실이다. 선사께서 1970년대에 보이신 시범들은 당시 매스컴에 주목을 받으며 상당히 알려졌는데, 그중에서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만국박람회, 일명 <엑스포 70>에서 일본 후지TV의 초청으로 시범을 보이신 것이 대표적이다. 그때의 시범은 한국의 TV에도 여러 번 방영된 적이 있고 촬영된 필름은 지금도 보관되어 있다. 
 당시 선사는 관람객들이 보고 있는 공개홀에서 다양한 시범을 보이셨다. 
 처음에는 길이가 대략 60㎝ 정도 되고 두께가 약 10㎝인 각목에 한 뼘 정도 되는 대못을, 못의 머리에 얇은 헝겊만 살짝 감고는 아무 도구 없이 얼굴의 볼로 대못을 눌러 관통하였다. 그리고는 그 못을 다시 치아로 물어서 뽑아버리는 시범을 보이셨다. 그리고는 그 못을 손으로 부러트려 반 토막을 낸 뒤 옆에다 놓았다. 이어서 두 번째 대못을 박을 때는 헝겊도 없이 멘 볼로 박다가 마지막은 손으로 눌러 박고는 그 못을 다시 손으로 잡아당겨 뽑아버리셨다. 그리고 이번엔 그 못을 반으로 접다시피 하여 완전히 구부려서 당시 진행을 맡은 아나운서에게 주니, 아나운서는 그저 놀랍다는 감탄의 말만 되풀이했다.
 다음으로 보인 시범은 상하좌우 30㎝의 길이에 7㎝두께의 송판 두 장을 좌측과 우측에서 두 사람이 한 장씩 가슴 높이에서 잡게 하고는, 주먹을 쥐었다가 오른손 엄지와 새끼손가락만 펴고 두 손가락에 기를 넣어 먼저 오른쪽의 송판을 새끼손가락으로 격파 하고 이어 왼쪽의 송판을 엄지로 격파하는 시범을 보이셨다. 
 그 다음은 바위를 격파하는 시범을 보이셨다. 먼저 양쪽에 두껍고 평평한 돌을 놓고 그 위에 격파할 돌을 놓았는데, 그 길이가 약 40㎝에다 두께는 약 20㎝정도 되었다. 선사는 잠시 호흡을 고르고 난 후에 기합소리와 함께 이마로 돌을 받아 격파를 하셨다. 그러고는 방금 격파한 크기와 비슷한 돌을 놓고 이번에는 발로 밟아서 격파를 하셨다. 이 돌도 보기 좋게 두 동강 났다.
  
 

그 다음으로 선사는 바닥에 옆으로 누워 머리를 두꺼운 수건뭉치로 베개 삼아 받치고 다시 머리 위에 또 두꺼운 수건뭉치를 얹으셨다. 그리고 두 사람이 겨우 들 만한 커다란 바위를 머리 위에 얹고 또 그 위에 약간 작은 바위를 포개어 얹고는, 제자 한 사람이 큰 해머로 바위 위를 사정없이 세 번 내리쳤다. 위에 얹힌 바위는 불똥이 튀며 산산조각 났고, 선사께서는 바위를 밀치고 아무렇지도 않게 자리에서 일어나셨다. 대략 100㎏은 될 만한 바위의 무게는 물론이고 해머의 충격까지 멀쩡히 견뎌낸 것이다. 
 마지막은 저녁 무렵에 공개홀이 아닌 야외로 나가 불속에 들어가 견디는 시범이었다. 이 시범을 하기 위하여 먼저 지름이 약 4m정도 되는 원의 둘레에 여러 개의 말뚝을 박고 석유가 묻은 솜뭉치 줄을 약 20㎝ 간격 높이로 여러 겹을 둘러 약 2m의 높이로 만들었다. 그러니까 원으로 된 장막이 쳐지고, 원 가운데 바닥에는 볏짚 같은 것이 깔린 상황이었다.

불속 사진.jpg    

 그 장막 앞에서 선사는 잠시 아나운서와 통역관을 통하여 인터뷰를 하고 나서 걸치고 있던 가운을 벗었다. 그리고 머리와 아래쪽만 흰 천으로 가린 복장으로 횃불 하나를 받아들고 천천히 장막 안으로 들어갔다. 이어서 들고 있던 횃불을 밖으로 던져 신호를 보내고 중앙에 양손 합장하여 앉으셨다. 외부에서 대기하고 있던 몇 사람들이 석유 묻은 솜뭉치에 불을 붙였고, 불길은 삽시간에 번져 완전히 화염에 휩싸였는데 그때 바람마저 세게 불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가슴 조이게 하였다. 결국 솜뭉치가 다 타고 불길이 거의 꺼질 때 선사께서는 밖으로 태연히 걸어 나오셨다. 그 불속에서 견디고 나온 시간을 재어보니 약 8분 정도였다.
 
 옛날 임진왜란 때 일본인들이 사명대사의 도력을 시험하려고 철화방에 앉혀놓고 밤새도록 불을 때고는 죽었겠지 하고 아침에 방문을 열어보니 방 안이 온통 춥고 사명대사의 수염에는 고드름까지 맺혀 있었다는 일화를 떠올리게 하는 시범이었다. 실제로 선사께서도 시범을 보이기에 앞서 “누구나 수도를 하여 도를 이루면 범인의 경지를 넘어 불가사의한 도력을 보일 수가 있는데, 옛날 사명대사가 철화방에서 견딜 수 있었던 것도 수도를 하여 나타낸 도력의 힘이므로 그와 같은 시범을 보여드리겠습니다.” 하고 말씀하셨다. 
 이처럼 선사께서 여러 가지 도력(道力) 시범을 직접 보인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관심과 호기심을 갖게 하기 위함이었다. 선사가 하산하실 당시에는 아주 극소수의 사람들 빼고는 단전(丹田)이란 말조차 모르는 현실이었기 때문이다. 
 선사께서 당대의 무술인들이나 차력사들과 겨룬 일화가 많은 것도 당시의 시대상황과 관련이 깊다.  70년대는 궁핍한 생활 속에서 힘 있고 주먹 센 사람들이 거리를 활보하며 자기 과시를 하던 때였다. 그래서 자연히 차력사들과 무술의 대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경합을 벌이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그럴 때마다 선사께서는 그들보다 한 차원 높은 도력을 보이면서 이들을 수련의 길로 이끄셨다. 날고뛰던 무술의 대가들조차 실기와 시범 면에서 압도적으로 뛰어난 선사의 능력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글 진목법사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