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게로봇, 해저탐사의 미래 로봇AI

 crabster-1-1375210877704.jpg » 해저탐사 시험을 위해 부두로 옮겨진 크랩스터 CR200. 해양과학기술원  

해양과학기술원, 6개 대학과 공동 개발

"해저탐사의 미래"로 국제적 주목 끌어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이 게 모양의 해저탐사 로봇을 개발해 국제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미국의 정보기술 전문매체 <씨넷>은 6개의 발이 달린 ‘크랩스터 CR200’(Crabster CR200)이란 이름의 이 로봇이 해저탐사 잠수정의 미래가 될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이 게로봇은 현재까지 개발된 해저탐사 로봇 가운데 거친 바닷속 환경을 가장 잘 헤쳐나갈 수 있는 것으로 꼽힌다. 지금까지 나온 해저로봇들은 프로펠러에 의존해 이동했다. 하지만 이는 먼지를 발생시켜 시야가 막히기 일쑤이고, 강한 조류를 견디는 데 취약했다. 이번에 개발된 크랩스터는 게 다리 방식을 통해 이런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 특징이라고 <싱귤래리티 허브>는 전했다. 크랩스터는 게(crab)와 바닷가재(lobster)의 합성어이다.
서울과학기술대, 목포대, 충남대, 부경대, 국민대, 한국해양대 등과 공동으로 개발한 이 게로봇의 6개 다리는 30개의 관절로 구성돼 있어, 빠른 유속에서도 바닷속을 걸어다닐 수 있게 해준다. 해저 200미터까지 작업이 가능하다고 한다.
crabster6-1375211643294.jpg » 정면에서 본 크랩스터. 해양과학기술원

한번 잠수하면 수일간 바닷속에 머물면서 10개의 카메라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촬영 수집하고, 두 앞발로 샘플도 채집할 수 있다. 크랩스터는 네 명의 승무원이 원격으로 작동시키도록 돼 있다. 크랩스터가 본격 활동하게 되면 해저 난파선에서 보물을 건져 올리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 작업이 최종 완성된 것은 아니다. 해양시스템연구부 전봉환 박사팀은 최근 거제에서 수중 시험을 실시했다. 내년 중 실제 탐험에 투입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해외 언론들은 크랩스터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바다에 들어가고 나올 땐 다리를 접고 헤엄을 쳐 움직일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크랩스터의 무게는 600kg, 길이는 2.42m, 폭 2.45m, 높이 2m이다.

crabster4-1375211617496.jpg » 수중 실험을 위해 입수하는 크랩스터. 해양과학기술원

 

지난 7월 거제 앞바다에서 진행된 첫 수중 시험. 

 

크랩스터 홍보 동영상(수중 탐사 상상도).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