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비행은 아빠와 함께…46일간의 오색딱따구리 번식 관찰기 윤순영의 시선

장릉 산책로에서 번식 나선 숲속의 '색동 신사'

하루 170번 먹이 날라 키워 마침내 둥지 떠나

 

크기변환_DSC_5364.jpg

 

 

 크기변환_DSC_24011.jpg

 

 지난 4월27일 김포시 장릉산 숲속에 오색딱다구리가 번식을 위해 벚나무에 둥지 구멍을 파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바닥에는 쪼아낸 나무 부스러기가 수북했다.

 

이미 열흘쯤 전부터 집짓기를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구멍으로 수컷 오색딱다구리 몸이 반 이상 들어갈 만큼 판 상태였다.

 

크기변환_DSC_1264.jpg

▲오색딱다구리  번식지.

 

크기변환_DSC_0188.jpg

▲벗나무를 파내 둥지를 만드는  오색딱다구리 수컷.

 

크기변환_DSC_0270.jpg

▲몸이 반이상 둥지 구명으로 들어간다.

 

크기변환_DSC_1263.jpg

▲부리고 쪼아낸 벚나무 부스러기가 숲 바닥에 수북하다.

 

그런데 사람들이 빈번하게 다니는 길목에 둥지를 튼 이유가 무엇일까? 혹시 천적의 공격을 피하기 위하여 일부러 길 가까이에 둥지를 지은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

크기변환_DSC_2951.jpg

▲오색딱따구리가 둥지를 튼 곳은 사람들이 드나드는 길목이었다.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는 곳엔 경계심이 많은 새들이 잘 날아들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새들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고 새끼를 키울 수 있기 때문에 이곳을 선택했는지도 모른다. 물론 둥지를 뚫기에 적당한 나무가 마침 이곳에만 있었을 수도 있다. 

 

새끼들이 다 자라 둥지를 나오는 순간 안전한 곳은 없다. 새끼의 안전을 위해 여러 위험을 고려했을 때 상대적으로 가장 안전한 곳을 골랐을 것으로 짐작해 본다.

 

크기변환_DSC_0460.jpg

▲'이만하면 됐어'. 수컷이 애써 파놓은 둥지와 주변 여건을 암컷이 둘러보고 있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_0223.jpg

▲둥지 주변에 개복숭아꽃이 화사하게 피었다.

 

4월30일 집이 완성되었다.
암컷은 바로 산란에 들어 같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_0166.jpg

▲잘 정돈된 오색딱따구리 둥지의 들머리.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_1285.jpg ▲딱따구리 둥지는 사진 맨 왼쪽 나무에 있어 인근 벤치로부터 몇 미터도 떨어져 있지 않다.

 

정성스럽게 알을 품고 있는 오색딱다구리는  색끼가 부화 되기를 기다리며 지루한 시간을 보낸다.

 

 크기변환_DSC_0266.jpg

▲마침내 알에서 깨어난 새끼에게 수컷이 첫 먹이를 날라왔다.



크기변환_DSC_1125.jpg 

▲구멍으로 들어가 먹이를 주고 나오는 오색딱다구리 수컷.

 

5월17일 오랜 시간을 뒤로 하고 알이 14일 만에 부화 되어 나무 구멍 속에서 생명의 소리가  나즈막 하게 들린다. 대략 4개의 알을 낳고 부화했으리라 추측해 본다.

 

 크기변환_DSC_1810.jpg

▲암수가 먹이를 함께 가지고 왔다.

 

오색딱다구리는  빨간색, 검은색 ,흰색 ,주홍색 깃털로 되어 있어 '오색'이 아니라 '사색'이지만, 빛이 반사하는 각도에 따라 남청색, 회색, 갈색 등 여러 가지 색깔로 보인다. 오색은 꼭 다섯 가지 새깔이라기보다는 화려하다는 뜻에서 붙은 말일 것이다. 수컷은 머리 위에 빨간 반점이 있으나 암컷은 머리가 검은 빛이어서 구별하기가 쉽다.

 

크기변환_DSC_1023.jpg

▲새끼가 어려 먹이를 주려면 몸을 둥지에 깊숙히 넣어야 한다.


오색딱따구리는 나무에 수직으로 붙어 나선형으로 돌며 오르내린다. 먹이를 줄 때도 방해요인이 있으면 노출되는 것을 피해 나선형으로 돌며 나무 뒤로 숨었다 좌우로 번갈아 가며 고개를 내미는 모습이 꼭 숨바꼭질을 하는 것 같다.


암수가 작은 먹이를 나르기 시작한다. 하루 하루 새끼들이 내는 소리가 커져 간다.

 

크기변환_DSC_3138.jpg

▲김포 장능관리소가  오색딱다구리 번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세워놓은 안내판을      탐방객이 살펴 보고 있다.

 

크기변환_DSC_0973.jpg 

크기변환_DSC_2092.jpg 

▲새끼를 위해  먹이를 나르는 큰오색딱다구리 암컷.

크기변환_DSC_1320.jpg 

▲머리 위가  검은색인  암컷.

크기변환_DSC_1086.jpg 

   크기변환_DSC_1578.jpg

▲ 먹이를 나르는 큰오색딱다구리 수컷, 머리 뒤에 붉은 반점이 있다.

 

크기변환_DSC_0978.jpg

▲먹이를 받아 먹은 새끼의 배설물을 버리기 위해 물고 나오는 어미.

 

 구멍 속에 들어있으니 소리 크기를 듣고 얼마나 자랐는지 짐작할 따름이다. 태어난 지 열흘이 되면서 오색딱따구리 암수가 바쁘게 움직인다. 새끼들이 커가면서 먹는 양이 늘었기 때문이다. 동이 트는 새벽 5시부터 해가 긴 유월 저녁 7시까지 먹이를 열심히 나른다.

 

크기변환_DSC_1329.jpg 

크기변환_DSC_2150.jpg 

크기변환_DSC_0971.jpg 

 크기변환_DSC_1272.jpg
크기변환_DSC_1304.jpg

 

어미가 먹이를 가져오는 간격은 5분 정도이고 길면 7분 가량이 걸린다. 하루에 한 마리가 85번 정도 먹이를 나르니 두 마리가 약 170번 정도 먹이를 새끼들에게 먹인다. 구멍 들머리의 벚나무 껍질이 벗겨질 정도로 들락거린다. 동물이든 사람이든 자식에 대한 지극한 정성은 눈물겹다.

 

크기변환_DSC_1350.jpg 

크기변환_DSC_1351.jpg 

크기변환_DSC_1421.jpg 

크기변환_DSC_1355.jpg 

6월1일 알이 깬 지 16일만에 어두운 구멍 속에 새끼가 어렴풋이 보인다. 세상의 빛줄기와 가까워진다. 새끼가 자랄수록 둥지가 좁아지는지 수시로 어미가 들어가 구멍을 넓게 파낸다.

 

크기변환_DSC_3849.jpg

▲구멍속으로 새끼가 보이기 시작한다.

 

크기변환_DSC_2592.jpg

▲배고픈 새끼는 구멍 밖으로 목을 내밀고 먹이를 기다린다.

 

크기변환_DSC_1571.jpg   
크기변환_DSC_1615.jpg 

크기변환_DSC_1709.jpg

 

6월6일 부화 20일만에 오색딱다구리 새끼가 밖으로 얼굴을 내밀고 세상을 바라본다. 이제 곧 둥지 밖으로 나올 것이다.

 

이 즈음에 주변 연못에서는 흰뺨검둥오리 새끼가 무려 18마리나  태어났고 쇠물닭도 4마리의 새끼를 쳤다.

 

_DSC_4559.jpg

▲흰뺨검둥오리의 대 가족.

크기변환_DSC_4719.jpg

▲몸이 가벼운 흰뺨검둥오리 새끼들이 연잎 위에 올라가 쉬고 있다.

크기변환_DSC_5016.jpg

▲새끼들을 데리고 나온 쇠물닭.

크기변환_DSC_4701.jpg

▲쇠물닭 새끼도 연잎 위에서 쉬기를 좋아한다.

크기변환_DSC_5364.jpg

▲오색딱따구리는 새끼 때 머리 위가 모두 붉다.

크기변환_DSC_2446.jpg

▲시민들은 오색딱따구리의 둥지와 번식 모습이 마냥 신기하기만 하다.

크기변환_DSC_0459.jpg 

▲새끼에게 먹이를 주기에 바쁜 암컷(오른쪽)과 수컷.

크기변환_DSC_1229.jpg

▲오색딱따구리를  호기심어린 표정으로 바라보는 나들이 나온 가족.

 크기변환_DSC_5118.jpg

 ▲암 (우측} 수(좌측}가  먹이 주기에 바쁜 모습.

크기변환_DSC_2916.jpg 

▲오색딱다구리 새끼들의 요란한 소리를 듣고 먹이를 주는 모습을 바라보는 사람들.

 

번식 관찰의 마지막 정점은 새끼가 둥지를 떠나는 모습이다. 새끼가 구멍의 테두리를 밟고 올라서면 둥지를 박차고 떠날 확률이 높다.

 

 크기변환_DSC_1816.jpg

▲뽕나무 오디 열매를 물고 온 오색딱다구리 암컷.

크기변환_DSC_3328.jpg

▲암컷은 곤충을 물어오고 수컷은 둥지 밖으로 배설물을 가지고 나온다.

크기변환_DSC_4912.jpg

▲곤충, 애벌레, 열매등 다양한 먹이를 잡아다 준다.

크기변환_DSC_5109.jpg 

크기변환_DSC_2416.jpg 

▲수컷을 애벌레를 잡아오고 암컷은 뽕나무 열매 오디를 따 왔다.(위쪽 머리뒤가 붉은 수컷 , 머리전체가 검은 암컷)
크기변환_DSC_2381.jpg

▲먹이를 주고 날아가는 어미를 물끄러미 바라보는 새끼.

 

6월11일, 알에서 깬 지 25일이 지났다. 새벽 5시10분께 새끼 한 마리가 갑자기 구멍에서 빠져나와 나무 밑으로 떨어진다. 땅에 닿자 빠르게 걸어서 숲속으로 숨는다. 이어 나무가 있는 곳을 향해 가더니 나무 위로 올라가기 시작한다.

 

나무 구멍에서 생활한 탓에 새끼의 첫 비행은 다른 새들보다 어설프다. 그래서 땅에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새끼는 마르지 않은 듯 촉촉한 깃털을 가지고 있다. 주로 새벽에 둥지를 떠나지만 시간이 정해져 있지는 않다.

 

크기변환_DSC_5840.jpg

▲처음으로 둥지를 떠나 밖으로 나온 오색딱다구리 새끼.

 크기변환_DSC_5901.jpg

▲땅으로 떨어져 나무를  황급히 찾아 위로 올라 가는 오색딱다구리 새끼.

크기변환_DSC_5117.jpg

▲암컷은 뽕나무 열매 오디를 새끼 먹이로 선호하는 것 같다.

크기변환_DSC_2387.jpg

▲둥지 밖으로 계속 새기를 유인하는 수컷.

크기변환_DSC_5183.jpg

6월12일, 부화 26일만에 3마리의 오색딱다구리 새끼들이 차례로 둥지를 떠났다.

 

크기변환_DSC_5061.jpg


다른 새끼들은 구멍 둥지를 나오다 모두가 땅에 떨어졌지만 마지막 새끼는 구멍에서 나와 나무 위를 향해 올라간다.

 

크기변환_DSC_5851.jpg

▲ 겁많은 새끼의 이소를 돕기 위해 아빠가 나섰다.
크기변환_DSC_5853.jpg 

▲'자, 한 발 이렇게 내디뎌 봐'

크기변환_DSC_5855.jpg

▲'나무에선 이렇게 위를 향해 서는 거야'

크기변환_DSC_5857.jpg

▲'이렇게요?' '그래, 잘 했다'

크기변환_DSC_5859.jpg

▲이제 어떻게 해요?'

크기변환_DSC_5862.jpg

▲'조심, 주변을 경계해야지''

크기변환_DSC_5871.jpg

▲'아빠를 따라서 더 높이 올라와야 날 수 있어'

크기변환_DSC_5878.jpg

▲이얍! 첫 비행이다.

크기변환_DSC_5881.jpg

▲'아빠, 나 어때요?'

크기변환_DSC_5891.jpg

▲10.높은곳으로 올라가는 새끼.

 

 그러더니 다른 나무로 건너 뛰는 멋진 비행 모습을 선보인다. 26일 만에 모든 새끼들이  둥지에서 나왔다.

 

크기변환_DSC_5645.jpg

▲밖에서 첫 모이를 먹는 오색딱다구리 새끼.


21일이면  둥지에서 밖으로 나오지만 5일 정도 늦은 것은 사람통행이 많아 새끼를 키우는데 방해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새끼를 노리는 천적은 없으니 안심이다.

 

크기변환_DSC_4086.jpg 

▲새끼를 밖으로 유인하고 몸 단장을 하고 있다.

 

 ■ 장기간의 오색딱따구리 번식 촬영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신 김포 장릉 관리사무소 소장과 직원 여러분께 감사를 드립니다.

 http://www.crane1000.co.kr/

 

 

 

 

TAG

Leave Comments


profile안녕하세요?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윤순영 입니다. 어린 시절 한강하구와 홍도 평에서 뛰놀며 자연을 벗 삼아 자랐습니다. 보고 느낀 생각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