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로 감싸 물기 차단, 수컷 물꿩이 알품는 정성 윤순영의 시선

[윤순영의 자연 관찰 일기]

일처다부제로 수컷 물꿩이 알 품고 보육 도맡아…깃털 빠지고 바랠 정도로 헌신

거대한 발가락과 화려한 깃털 지닌 '물에 사는 꿩' 모습, 나그네새에서 철새 정착

크기변환_DSC_7101.jpg » 우리나라 여름 철새가 된 열대지역 물새인 물꿩 가시연 위를 걷고 있다.

창녕 우포늪에는  열대권에 사는  물꿩이 2010년부터 해마다 찾아오고 있다. 예전엔 길잃은 새로 우리나라에 머물렀지만 이젠 번식까지 한다. 물꿩의 번식은 1993년 경남 주남저수지를 시작으로 제주와 천수만 등지에서 확인됐다.

그러나 우포늪에서는 지속적인 번식이 이뤄지고 있다. 2011년부터 번식을 시작했고 20137월엔 8마리까지 관찰되었다. 해마다 우포늪을 찾아오는 물꿩이 지난 728일부터 31일까지 알 4개를 낳았다.

크기변환_DSC_2588.jpg » 우포늪의 아침.

크기변환_DSC_0704.jpg » 가시연꽃

■우포늪 년도별 물꿩 개체수

년도

개체수

비고

2010

3

비번식

2011

5

번식

2012

4

번식

2013

8

번식

2014

3

번식

2015

3

번식

2016

5

번식

2017

5

번식

※이인식 우포자연학교, 주영학 우포지킴이,  사단법인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공동조사 자료.

가까운 거리에서 물꿩 수컷이 알을 품고 있다. 암컷 물꿩이 일처다부제를 택한 것은 알을 수컷들에게 나누어 줘 번식력을 높이려는 생존전략이다. 작년에는 사진인들로 인해 우포늪 내 두 곳 중 한 곳이 번식을 실패해 올해는 성공적인 번식이 되었으면 한다.

크기변환_m3.jpg » 둥지에 지나치게 접근해 촬영하는 사진인들. 이들은 시야를 가린다고 버드나무를 꺾어내기도 했다. 2013년 우포늪에서 벌어진 일이다. 국립환경과학원 제공.

수컷 물꿩이 알을 품는 모습을 발견했다. 자세가 낯설었다.

크기변환_DSC_4133.jpg » 안쪽 날개로 알을 감싸 물을 차단한 뒤 그 위에 알을 얹어놓고 가슴으로 알을 품는 수컷 물꿩.

암컷 물꿩과 수컷 물꿩은 구분이 안 되지만 암컷이 다소 크다. 알을 품고 새끼를 기르는 것은 수컷 수컷의 몫이다. 무더운 날씨 탓에 온도조절을 위하여 수컷 물꿩이 자리를 자주 비운다.

부화의 성공을 높이기 위한 방편이다. 둥지를 비우고 날아가는 방향은 항상 암컷 물꿩이 있는 곳이다. 서로 먼 거리를 두고 만나 얼굴을 서로 마주하지 않는다.

크기변환_포맷변환_DSC_4738.jpg » 수컷 물꿩이 둥지를 비울 때는 둥지를 떠나 달려 날아가는 습성이 있다.

크기변환_DSC_3302.jpg » 물꿩 둥지 근처에 접근했다가 혼쭐나는 청둥오리.

암컷 물꿩이 곁을 주지 않아서 부부관계가 아니게 보일 정도로 어색한 모습이다. 둥지로 돌아올 땐 날다가 적당한 거리에 내려앉아 수초 위를 걸어서 오는데 수초 위에는 이동 동선이 정해져 있어 그 길만 이용한다.

돌아오는 길에 항상 먹이 사냥을 한다. 당황하거나 조급함 없이 주변을 철저하게 살피며 늪 위를 걷는다. 특히 우포의 가시연은 물꿩의 포장도로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식물이다.

크기변환_DSC_2883.jpg » 암컷 물꿩이 그물 부표에 앉아 날아가는 수컷 물꿩을 물끄러미 쳐다만 보고 있다.

크기변환_DSC_7796.jpg » 둥지로 돌아올 땐 적당한 거리에 내려앉아 걸어들어오는 습성이 있다.

크기변환_DSC_5046.jpg » 둥지로 걸어 들어오는 수컷 물꿩.

물꿩은 다른 새들처럼 가슴으로 알을 품지 않고 겨드랑이 사이로 알을 감싸고 알을 아랫면날개 위에 올려 날개로 품는 점이 특이하다. 알을 품을 때 물과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방편이다.

알을 품는 시간은 평균 20여분 정도, 그 이상은 넘지 않았다. 10분 정도 자리를 비우는 일을 하루종일 반복한다. 물꿩은 주변 환경과 기후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는 새다. 부화를 위해 주위 온도를 적절하게 활용한다.

크기변환_DSC_5513.jpg » 알을 살펴보며 품는 방향을 틀거나 알을 굴려 안정적인 자리를 잡는다.

크기변환_DSC_4714.jpg » 아랫면 날개로 감싸안은 알, 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비가 내려 늪지의 수위가 올라가거나 둥지의 변형이나 수초의 환경 등의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둥지를 새로 마련해 품던 알을 옮겨간다.

이때 알을 부리 안쪽으로 굴려 이동시키고 알은 물에 빠져도 떠오른다. 가시연, 자라풀 등이 둥지를 만들거나 수선하는데 중요한 재료로 쓰인다.

크기변환_포맷변환_D4S_3593.jpg » 둥지 주변의 환경이 여의치 않아 새로운 둥지를 만들어 알을 옮겨가는 수컷 물꿩.

크기변환_포맷변환_D4S_3603.jpg » 가까운 거리로 알을 옮기는 데는 삼분 정도 소요된다.

크기변환_DSC_3545.jpg » 비가 그치자 알 습도 조절을 위해 둥지를 박차고 나가는 수컷 물꿩.

이번 번식기는 무덥고 비가 자주 내렸다. 비가 내리면 꼼짝 않고 알을 보호하고 날이 맑아지면 재빨리 햇볕에 노출시킨다.

물 위에서 번식을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깃털 손질을 자주하여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한다. 깃털은 알을 품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크기변환_DSC_6590.jpg » 물꿩 수컷은 수시로 둥지주변을 날아다닌다.

크기변환_DSC_6592.jpg » 영역에 대한 애착심이 강해 항상 주변을 순찰하기 때문이다.

암컷은 둥지 주변에서 경계근무를 서면서 방해요인이 되는 것을 살피고 때로는 둥지 주변의 침입자에게 소리 내 경고를 보낸다. 당당한 자세로 다가가 침입자를 쫓거나 수컷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지만 그다지 미덥지 않게 행동한다.

물꿩은 다리도 길지만 발가락이 긴 것이 특징이다. 긴 발가락은 수초 위를 잘 걸을 수 있게 발달돼 있다. 느리게 걷다가도 본능적으로 깊이 빠지는 곳에서는 수초 위를 스쳐 가듯 매우 빠른 걸음으로 빠져나간다.

크기변환_DSC_6731.jpg » 알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몇 번이고 열렸다 닫히기를 반복한다.

크기변환_DSC_6825.jpg » 물꿩 새끼가 몸을 거의 드러냈다.

크기변환_DSC_7034.jpg » 밖으로 몸을 완전히 드러낸 물꿩 새끼.

823일 오전 748, 4개의 알 중 1개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알을 품은 지 27일째다. 34분 뒤인 오전 822분경 새끼가 몸부림치며 알을 깨고 밖으로 나왔다. 수컷 물꿩은 곁에서 지켜보며 마음이 불안하고 초조해 어찌할 바를 모른다.

새끼 곁으로 다가가 이리저리 살펴보더니 찌꺼기는 먹고 알껍데기를 물고 멀리 날아가 알껍데기를 버린다. 알에서 풍기는 냄새로 인해 천적에게 둥지와 새끼를 노출시키지 않으려는 본능적인 행동이다.크기변환_DSC_7404.jpg » 부화된 새끼가 사랑스러운 수컷 물꿩.

크기변환_DSC_0816.jpg » 알껍데기를 부리에 물고 버리려는 수컷 물꿩.

크기변환_DSC_8685.jpg » 알에서 풍기는 냄새가 천적으로부터 노출될 것을 우려해 멀리 내다버리는 수컷 물꿩.

오전 1040분과 오후 320분에 2번째 3번째 새끼도 알에서 깨어났다. 첫 번째 태어난 물꿩 새끼는 털이 다 말라 기력을 찾고 아비를 곧잘 따라다닌다. 어린 새끼들이 수초에 걸리면 수초를 눌러 길을 만들어준다.

수컷 혼자 새끼를 돌보느라 정신없이 분주하다. 암컷 물꿩은 모습조차 볼 수 없다. 이제 알 하나만 부화되면 된다. 그러나 해가 지도록 알은 부화되지 않았다. 혹시 무정란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했다.

크기변환_DSC_8554.jpg » 두 번째 새끼가 알에 붙어 밖으로 나오지 못하자 아비 물꿩이 부리로 물어 끌어냈다.

크기변환_DSC_1514.jpg » 무사히 부화된 네 마리의 물꿩 새끼들.

크기변환_DSC_1165.jpg » 물꿩 사형제. 오른쪽이 막내다.

다음날 오전 827, 마지막 알이 부화되었다. 알껍데기를 재빠르게 물고 수컷 물꿩이 내다버린다. 암컷은 알만 낳고 그 뒤의 모든 일은 수컷이 도맡아 헌신을 다해 무사히 새끼가 태어났다. 성공적인 부화다.

수컷 물꿩의 강한 부성애가 발휘된 순간이었다. 갓 태어난 새끼들의 체온 떨어질까 재빨리 아비는 새끼들을 모아 품는다. 아비가 일어났는데 품던 새끼가 보이질 않는다.

새끼들은 아비 날개 겨드랑이 사이에 있었다. 새끼들이 겨드랑이에서 떨어진다. 아비가 겨드랑이로 알을 품던 습성이 새끼들에게 전해진 것일까?

크기변환_DSC_1804.jpg » 솜털이 다 마른 물꿩 새끼가 아비 물꿩 앞에서 쉬고 있다. 아비는 여유롭게 깃털 손질을 하고 있다.

크기변환_DSC_0956.jpg » 물기에 젖은 물꿩 새끼. 솜털이 말라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아비가 먹이를 먹는 시늉을 계속해서 낸다. 새끼들은 스스로 먹이를 찾아먹는다. 마지막 태어난 새끼의 회색빛을 띤다.

솜털의 물기가 마르고 갈색으로 변해 기력을 찾아 자유롭게 움직인다. 솜털이 마르는 데 2시간이 소요되었다. 2~3일이면 둥지 주변을 서서히 벗어나게 된다.

크기변환_DSC_1945.jpg » 새끼를 품어 온도 저하를 막아주는 아비 물꿩.

크기변환_DSC_1955.jpg » 아비 물꿩이 일어서자 겨드랑이 사이에 있는 새끼 물꿩의 다리가 보인다.

크기변환_DSC_1969.jpg » 아비 겨드랑이에서 떨어지는 물꿩 새끼들.

크기변환_DSC_1999.jpg » 나들이에 나선 물꿩 새끼들.

98일 보름여 만에 물꿩 새끼들은 부쩍 자라났다. 아비 물꿩은 새끼를 돌보느라 야위어 힘들어 보인다. 번식깃에서 겨울 깃으로 변환하는 시기이기도 해서 몰골이 말이 아니다.

꼬리도 하나가 빠져버리고 얼굴 주변의 깃털도 변해간다. 혹시나 하여 암컷 물꿩이 새끼 주변에 나타날까 기대하였지만 암컷은 끝내 보이지 않았다. 때론 냉정한 모성이 종의 보전에 오히려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크기변환_DSC_7340.jpg » 새끼를 기르랴 수척해진 아비 물꿩, 꼬리도 빠지고 번식깃에서 겨울깃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겹쳐 더욱 초췌해 보인다.

크기변환_DSC_7458.jpg » 기지개를 펴며 피곤한 몸을 푼다.

물꿩과 새끼들은 가시연을 발판삼아 자라풀이 적당히 분포된 곳에서 씨앗과 주위에 서식하는 수서 곤충, 작은 물고기를 사냥한다.

제법 자란 물꿩 새끼들은 제멋대로 아비의 관리 구역을 벗어나기도 해 아비의 마음을 애태운다. 아비 물꿩은 소리를 내 새끼들을 불러들이고 아침저녁으로 기온차가 생기면 품속으로 불러들여 체온을 유지시켜준다.

크기변환_DSC_7645.jpg » 부쩍 자란 물꿩 새끼들이 가시연 위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크기변환_DSC_7547.jpg » 아비 물꿩을 따라 사냥에 나서는 물꿩 새끼.

크기변환_DSC_7571.jpg » 새끼 물꿩이 작은 물고기를 사냥했다.

어린 새끼의 솜털은 체온을 유지시키는 기능이 떨어진다. 수컷 혼자서 알을 품고 처절할 정도로 새끼를 키워내는 헌신과 사랑은 감동이었다. 10월말이면 물꿩은 우포늪을 떠나 남부아시아 어디론가 향해가고 내년을 다시 기약할 것이다.

크기변환_DSC_7735.jpg » 가시연을 방석 삼고 자라풀은 위장용으로 이용하는 물꿩 새끼.

크기변환_DSC_7513.jpg » 아비 물꿩과 새끼 물꿩의 사랑스런 입맞춤.

물꿩은 둥지를 틀 때와 알을 산란하는 시기에 매우 민감하다. 사진인들의 배려가 필요하다. 우리는 작년에 일부 몰지각한 사진인이 한 장의 사진을 위해 둥지를 건드려 번식을 포기한 사례를 교훈 삼아야 한다. 특히 정숙해야 할 번식장소에서 정숙하지 못한 행동은 삼가야 한다고 우포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말한다.

크기변환_DSC_7846.jpg » 물꿩은 깃털 고르기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

크기변환_DSC_6411.jpg » 꼬리 깃털을 마무리 한다.

(물꿩 관찰과 촬영을 위해 협조를 아끼지 않은 이인식 우포자연학교장, 주영학 우포지킴이, 조재천 낙동강유역환경청, 정봉채 교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TAG

Leave Comments


profile안녕하세요?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윤순영 입니다. 어린 시절 한강하구와 홍도 평에서 뛰놀며 자연을 벗 삼아 자랐습니다. 보고 느낀 생각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Recent Trackback